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라이프해킹스쿨 창업형인간되기(5일과정) 19차 리뷰(4)
    퇴사 후 여행 2022. 10. 22. 19:16

    2022년 6월 호기롭게 퇴사를 하고 두 달간의 여행이 끝난 뒤 개인사업자가 된 지 2달째이다.

    스마트스토어를 하면서 유튜브도 하고 간간히 블로그에 글도 쓰고 거의 매일같이 영어회화 스터디를 참석하고 있다.

    내 인생의 사명을 정해둔 덕분에 앞으로의 인생에서 방향을 잃을까 두렵지는 않으나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고자

    라이프해킹스쿨 창업형인간되기 5일과정을 신청하였다.


    네 번째 날 강의에서는 창업 시 자본획득전략과 팀 운영에 대한 팁을 다루었다. 앞선 강의들 보다 조금 더 비즈니스가 빌드업되었을 때 필요한 부분들이었다. 그중에서도 팀 운영에 대한 전략이 인상 깊었다. 특히 팀원들이 나처럼 일하게 하는 방법은 사업을 할 때 누구나 꼭 필요한 스킬들이라고 생각한다. 대학 시절 창업 동아리를 운영하면서 팀 운영을 할 때에 비슷한 생각들을 많이 했었는데 그때는 내가 잘하고 있었음에도 잘하고 있는지 잘 알지 못했다. 이렇게 성공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A부터 Z까지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잘 없었거나 잘 찾아보지 않았던 이유였다. 이제는 그때보다 더 많은 경험을 하였고 믿을만한 가이드라인도 생겼기 때문에 더 좋은 환경이 갖추어졌다.


    아래는 챕터별로 핵심 내용과 느꼈던 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8. 창업형 인간을 위한 창업 가이드라인

    01. 초기 자본 획득 전략 1 - 정부 지원 사업

    • 정부지원 사업을 받을 수 있는 사업? 두가지 모두 해당하는지 확인
    1. 기술 베이스
    2. 자영업 수준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사업인지
    • 컨설팅/요식업에도 IT,기술적인 부분을 접목시키면 정부 지원사업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 학벌/대기업 경험 등도 지원사업 평가 요소에 해당한다.
    • 비즈니스 모델에서 확실한 차별점이 있는지?
    • 타 경쟁사가 따라 올 수 없는 차별점이 있는 사업인가? 대기업이 따라온다면? 아래 세 가지 정도가 그나마 적합한 답변일 것

    → 1. 특허 2. 시장선점효과 3. 팀원의 역량

    02. 초기 자본 획득 전략 2 - 투자 유치

    • 정부지원자금과는 달리 회사의 방향에 관여하는 이해관계자가 많아지는 것이 불편할 수 있음
    • 엑셀레이터 : 완전 초기창업자에게 3천만 원 ~ 1억 원 정도 투자하고 10% 정도의 지분을 가져감.
    • VC(벤처캐피털) : 초기 창업 이후 1억 원 이상을 투자
    • [투자를 받을 수 있는 회사의 판단 기준]
    1. 상위대학이나 해외대학 출신인가? (빠르게 창업자를 판단하는 기준)
    2. 대기업 또는 규모가 큰 스타트업 출신의 멤버가 있는 사람인가? (실무 역량 검증)
    3. 창업 성과를 만든 창업 경험, 수업이 창업을 실패해 본 경험이 있는 팀인가?
    4. 하려는 사업에 핏이 맞는 사람인가? (사업을 하려는 진정성 또는 스토리가 필요)
    5. 아이템의 시장성이 충분한가? (수익 실현을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수백억, 수천억 원의 매출이 발생할 회사에 투자함)
    • [시리즈 A 투자를 받는 요건]
    1. 시드 투자받은 것으로 충분한 매출을 만들었는가?
    2. 타 업체가 따라오기 힘든 기술 장벽을 만들었는가?
    3. 시장을 선점하여 시장의 선두가 될 준비가 모두 되었는가?

    03. 초기 자본 획득 전략 3 - 대출

    •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방안
    • 매출이 상승곡선을 타고 있었기 때문에 학원 차릴 때 대출받는 것이 리스크가 거의 없다고 판단했다.
    • 무자본 창업공식에 따라 어느 정도 성과를 낸 뒤 자금 확보 단계로 넘어가는 게 나음

    04. 핵심 팀원을 찾고 팀빌딩을 하는 방법

    • 누가 봐도 나보다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같이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비슷하거나 나보다 조금은 능력이 모자라지만 포텐셜이 뛰어나 보이는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을 추천한다.
    • 내세울 것이 없는 상황에서 팀원을 찾으려면 온라인으로만 찾는 건 가치 입증이 좀 어려울 것이다.
    • 팀원끼리 의견 조율을 할 때 의사결정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될 수 있다.(감정소비도)

    → 가설을 세우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쓰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을 팀원들과 공유해야 함. + 가설 검증도(스타트업 성공 공식에 대한 내용 공유)

    → 즉 팀원들의 의견이 갈릴 경우 짧은 텀으로 가설을 빨리 검증해보는 것이 효율적임

    • 구인을 할 수 있는 사이트와 커뮤니티
    • 크리에이트 클럽 - https://passionoil.kr/
    • 문토 - https://www.munto.kr/
    • 인사이터 - https://insight-er.com/
    • 트레바리 - https://trevari.co.kr/
    • 비긴메이트 - https://www.beginmate.com/
    • 어느 순간 팀원이 회사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음. 회사가 성장하면서 공동창업자 또는 팀원도 함께 성장하지 않으면 추후 회사 확대에 문제 발생. 최악은 헤어져야 하는 성장통을 겪을 수밖에 없음. 성장하지 않는 창업자가 내가 되지 않도록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05. 팀원 모두가 나처럼 일하게 하는 방법

    • 세 가지를 이용하라
    1. 접근 동기(행복을 추구하려는 동기): 회사가 추구하는 비전을 지속적으로 공유하면서 회사의 발전과 개인의 성장이 함께 갈 것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는 게 좋음
    2. 회피 동기(싫어하는 것을 피하려는 욕구에 의해 생기는 동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무능력하게 생각하는 것을 피하려고 하는 심리를 이용 → 아침마다 일일 업무 공유를 하면서(온라인으로) 1. 업무에 대한 리마인드 2. 서로가 서로의 업무를 주시하게 함 3. 무능력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게 업무에 더 책임감을 가지고 성과를 내려고 하게 되어있다.
    3. 팀원들에게 자발성을 주기 위해서는 넛지가 중요하다. 직접적으로 얘기를 하기보다 팀원들이 자발적으로 하게 만든다. (팀원들에게 자율성을 부과하고 그에 따라 책임을 부과한다.) ex) 출퇴근 시간

     

    [오늘의 미션]

     

    [01]

    내가 참여할 수 있는 정부 지원 사업

    서칭 후 리스트업 하기

    1. [부산] 전자상거래 창업기업 원포인트 레슨 참가기업 모집 공고 ~10/30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078094
     

    2. 

     

     

    [02]

    아래 영상을 보고 잘 팔리는 문구

    예시 5개 찾아보기

     

    1. 지방대생 모르면 안 되는 3가지(본인 유튜브 영상 제목)

    2. 1년간 이렇게 했더니 비전공자 개발자 돼버림(본인 유튜브 영상 제목)

    3. 내 생각과 관점을 수익화 하는 퍼스널 브랜딩(책 제목)

     → 이익이 될 만한 것을 제시하였고, '내 생각과 관점'이라는 키워드가 누구나 할 수 있다는 말 보다 더 임팩트가 있었다.

    4. 저는 이 '독서법'으로 연봉 3억이 되었습니다. (내성적인 건물주 유튜브 썸네일)

     → 돈을 버는 방법은 누구나 자신과 관련 있다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 썸네일 문구는 '3억'이라는 자극적인 숫자에 '독서법'이라는 내용은 알려주지만 '이 독서법'이라는 말로 상세한 내용은 숨기고 있다.

    5. 5일 완성 창업형 인간 되기

    → 나에게 이익이 될 만한 것을 보여주는 짧은 문구이다. 5일이라는 숫자로 창업형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굉장히 유혹적인 문구이다. 5일만 투자하면 대단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듯이 (결론적으로 대단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시작점이 될 수는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속았다는 느낌이 없는 완벽한 카피라고 할 수 있겠다.)

     

     

    [카피라이팅 팁]

    "자신과 관련있다고 생각하게 만들어라"

    1. 새로운 뉴스로 흥미를 불러일으켜라

    2. 이익이 될 만한 것을 제시하라

    3. 욕망을 자극하라

    4. 부드럽게 공포와 불안을 주고 그것을 해소해줘라

    5. 믿음을 주어라

     

    [캐치 카피의 요소]

    1. 타겟 한정하기

    2. 질문 던지기

    3. 압축해서 말하기

    4. 과정을 엔터테인먼트화 하기

    5. 중요한 정보 숨기기

    6. 숫자나 순위 사용하기

    7. 비유로 마음 사로잡기

    8. 상식 뒤엎기

    9. 진심으로 부탁하기

     

    [뉴스가 될 조건]

    1. 세계 최초, 국내 최초, 업계 최초 

    2. 신상품, 신발명 등 NEW

     

    댓글

Designed by Tistory.